⟪공공연한 디자인⟫에서 ‘공공’은 다양한 의미로 해석된다. 비어 있음의 공공(空空)부터 공공성을 의미하는 공공(公共) 그리고 그대로 드러나게 한다는 ‘공공연하다’의 뜻으로도 사용되는 폭넓은 의미를 가진다. 비어있는 공간을 채우고 있는 요소들은 모두 최소한의 의미가 있는 자리에 놓일 때 디자인이 되고 우리의 삶을 행복하게 만든다. 이를 통해 디자인이 시각적인 표현의 범위를 넘어 삶의 새로운 가치와 라이프스타일을 제안할 수 있는 가치를 지니게 된 것이다. 
 
이번 전시는 마당, 집, 놀이터로 섹션을 분할하여, 작가의 시선을 통해 디자인이 사회와 개인의 삶을 어떻게 연결하고 있는지 다각도로 조명해본다. 1섹션은 마당(Garden)으로 마당은 누구나 들어오는 가장 열린 공간이자 사회의 모습을 잘 나타내는 공간이다. 작가 베리띵즈, 아이브이에이에이아이유 씨티 플래닝이 참여해 가시적으로 눈에 드러나는 사회적 상황을 디자인이라는 도구를 사용해 해결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2섹션인 집(House)은 가장 사적이면서 개인의 취향을 고스란히 드러내는 공간으로 양승진, 윤정원, 지희 킴, 그라프트 오브젝트가 참여해 사용자의 주관적 취향, 성향, 습관 등 개인의 관심사를 보여주는 감성디자인 위주로 보여준다. 마지막 3섹션은 놀이터(Playground)로 놀이터는 사회와 개인 간의 교집합을 이루는 만남의 공간이자 사회적 신분이나 개인의 나이와 관계없이 모두 참여하는 공간으로 박미나 작가의 구조물에 관람객의 참여를 통해 최종적으로 전시 공간이 완성되는 작품으로 이뤄진다
 
첫 번째 공간 마당(Garden)은 누구나 들어올 수 있는 가장 열린 곳이자 사회의   모습을 가장 잘 담아내는 공간이다. 우리가 살고 있는 주변의 공간들은 다양한    가치와 의식을 바탕으로 디자인되었다. 자기 집 마당부터 사람들이 모이는 광장,   대중교통, 이용하는 사회적 서비스 등 가시적으로 보이는 사회 속 디자인들은 우리 삶의 기초적인 부분들이자 너무도 당연해서 인지하지 못한 채 주변에  머물러 있는 공간 속 사물인 것이다. 자기 집의  마당이나 아파트 현관부터 지하철  노선도 그리고 주민센터의 접수창구까지 그냥 만들어 진 것은 없다. 동시대에 흐르고 있는 개인들의 삶의 가치는 디자인의 필수 요소이며 이런 욕망 들이 모여  사회적 디자인을 완성한다. 디자인은  인간의 삶에서 영위되는 공간과 가치 속에 나란히 갈 수밖에 없다.
 
가장 사적이면서 개인 감성이 가득 차 있는 집(House)은 개인을 위한 디자인과   닮아있다. 누구나 자신의 집은 의도와 상관없이 개인의 취향과 습관이 묻어나는   공간이다. 가장 좋아하는 물건과 색감, 요소들을 집안 곳곳에 배치하고 자신을 불안하게 하는 것들은 배제하는 과정을 통해 나만의 디자인으로 완성한다. 이 공간은 개인의 심리 상태를 현실화, 가시화해주는 총체적인 디자인의 모든 과정을 담고 있다. 디자인은 전문가의 손을 거쳐 만들어진 것만을 지칭하는 것이 아니라 각자의 일상에서 개인이 의도적으로 행동하는 모든 것이 디자인이다. 여기서의 디자인이 내 시선이자  곧 나의 모습이다.
 
디자인과 우리의 상호작용은 익숙하고 일상적인 행위를 통해 이루어진다. 디자인은 공적인 것, 사적인 것, 일상적인 것을 모두 포괄한다. 놀이터(Playground)는 사회와 개인사이의 교집합을 갖고 있는 공간이다. 디자인된 사회의 공간인   놀이터에 개인들이 모여 공간을 유연하게하고 서로 어울리면서 새로운 가치를 만들어 나간다. 공적인 사회의 공간에 따뜻한 감성을 더하는 디자인의 ‘개인적인’ 역할이 더욱 필요해진 것이다.

 









 
기사 노일영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