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reat elaboration is embedded in places. Just staying there, it gives you extravagant feelings deeply intoxicated with your existence. The eyes reach the materials in the space and the materials become the place for the eyes. The circumstances seem to be set to appear in this space and the materials and senses are considerately treated. This makes the ordinary things look new. It is being there as it has been long before. Nothing is changed but sometimes the surroundings make it look different. It is difficult to guess what the eaves over the grape myrtle look like. It makes the surrounding gardens and the void look special. Grazing along small trees and tender greenery reaches the building. Gently reflected light comes like the wind. The bricks become the wall and make the entrance, and deep and long curtains replace the front door just like embracing you. When you open this, it leads you to a different space. You can see it at a glance but it is difficult to know what it is as it is shown. Passing the counter formed like greeting someone, you will surely look back. It’s saying 'Welcome you'. Soft carpet, solid marble, anechoic wall paper; these materials which have come across reaching here seem to be changed to the different appearance in the memories. A curving corridor extends over the sense continuously; Deja vu and a little dizziness. It is natural but everybody can reach the door without failure. Finally, the door is open. Every room greets gladly all the conditions comming in. The room has been set and it is filled with every functional element for being a room. The materials meet and part as a familiar but a new way without forgetting their nature. The rodded joint which is made precisely on the hard surface looks like a firm handshake between the materials. It is a warm hug. Wood and stone which are familiar with and old as much as human history constitute the majority of the rooms. Here, these two can be the backdrop of each other and also the protagonist themselves. This warm and soft wood, at first, can be useful small table around a cozy bed or the comfortable backrest or the straight foot stool to put your feet on. But then, without realizing, it may wrap the body gently as the guidance of the wall towards the bathroom and it may be with the bedroom as a thin windowsill of the balcony which is full of wind and sunshine. On the other hand, the massive surface of the stone-in-hard and colorful patterns is laid down on the floor; it becomes low stairs whenever sitting or leaning on just like a couch, and last, it can be the wall of a shower room, a tub for warm water or a small round bowl. The stone carved wallbeaten obliquely with a hand hammer is for taking out the heaviness of the material and making it look more natural and comfortable. There are few things in common between wood and stone regardless of difference in density, gravity, volume and weight. But, the expectation that two different tunes in one place may reveal something different besides the original properties of themselves comes to fruition at this moment. It is now the moment to find something and feel it just by experiencing it. It will make the places more special. We hope this place will make you feel more comfortable and relaxed, being freed from everyday life.

위대한 노고가 온 곳에 스며있습니다. 그곳에 머무는 것만으로, 존재하는 것에 깊이 도취*되게 만드는 호사스러움이 있습니다. 시선은 공간의 재료에 이르고 재료는 시선이 놓이는 장소가 됩니다. 놓인 상황을 담담히 받아들이는 모습이 공간에 나타나고 재료와 감각은 서로 배려됩니다. 이로써 많은 것이 새로이 느껴집니다. 오래전부터 알고 있었던 모습으로 서 있습니다. 변하지 않았지만, 도시는 건물을 조금 새롭게 만들기도 합니다. 멀리서부터 보이는 배롱나무 위 처마는, 정확히 무슨 형태인지 알기가 어렵습니다. 덕분에 주변의 정원과 내어진 빈 공간이, 뭔가 다르다고 느껴지게 됩니다. 낮은 나무와 여린 풀 더미를 스쳐 건물 쪽으로 다가섭니다. 부드럽게 반사되는 빛들이 바람처럼 불어옵니다. 벽돌은 벽이 되어 이어지다 멈춰 서서 입구를 만들고, 깊고 높은 커튼이 나를 품듯 정문을 대신하고 있습니다. 이를 젖히면, 종전과는 다른 곳으로 들어서게 됩니다. 한 눈에 보이지만, 보이는 대로는 알아채기 힘든 공간. 나를 맞이하는 모습으로 형태를 이루고 있는 카운터를 지나면, 반드시 뒤돌아보게 될 것입니다. ‘당신을 환영합니다.’ 푹신한 카펫, 단단한 대리석, 울림 없는 벽지. 여기에 이르는 동안 만났던 기억 속의 재료들이 조금씩 다른 모습으로 변하는 것 같습니다. 휘어지는 복도는 감각의 너머까지 끝없이 이어지고 있습니다. 데자뷰 그리고 약간의 현기증. (어쩌면 당연한 말이지만) 누구도 실패하지 않고 객실 문을 찾아냅니다. 드디어 문이 열립니다. 각각의 방은 들어오는 모든 상황을 기꺼이 맞이합니다. 방은 모습을 갖추고 기능하기 위한 모든 것들이 채워지게 됩니다. 재료는 본연의 역할을 잊지 않은 채, 익숙하지만 새로운 모습으로 서로 만나고 헤어집니다. 단단한 바탕 위에 정밀하게 만들어진 맞춤새는, 재료들의 완고한 악수 같습니다. 따뜻한 포옹입니다. 인류의 역사만큼이나 오래되고 그래서 친숙하기도 한 나무와 돌은 이 호텔 객실의 대부분을 이룹니다. 여기서 이 둘은 서로의 배경이 되기도 하고 때로는 스스로 주인공이 되기도 합니다. 닿으면 따뜻하고 부드러운 느낌의 나무는, 처음에는 안락한 침대 주변에 차분히 머물면서 쓰임새가 유용한 작은 테이블이 되기도 하고 편안한 등받이가 되기도 하며 피곤에 지친 발을 내려놓을 수도 있는 반듯한 발판이 됩니다. 그러다가도 어느덧 침실의 주인을 욕실로 안내하는 넉넉한 벽면의 안내자가 되어 물에 젖은 몸을 부드럽게 감싸주기도 하고, 바람과 햇볕이 가득한 발코니의 가느다란 창틀이 되어 침실 곁에 함께 하기도 할 것입니다. 반면에 단단하면서도 화려한 무늬를 지닌 돌의 육중한 표면은 침실 바닥 아래에 내려와 깔려 언제든 아무렇게 앉거나 편히 기댈 수 있는 든든한 소파처럼 야트막한 계단이 되고, 이윽고 샤워실의 벽면은 물론이고 따뜻한 물이 담기는 욕조나 동그랗고 조그만 세면대로 변하기도 합니다. 손 망치로 두들겨 비스듬히 깎아 만든 돌벽의 자연스런 장식은 그 육중함을 덜어내어 가까이 곁에 두어도 불편함이 없었으면 하는 마음이 만든 것입니다. 밀도가 다르고 비중이 다르니 당연히 그 부피도 다르고 무게도 다른 것만큼이나 나무와 돌은 서로가 닮은 것이 별로 없습니다. 그렇게 서로 다른 두 자연을 한군데에다 고스란히 모아두고 나란히 바라본다면, 각자가 원래부터 가지고 있던 것들 이외에 다른 무언가를 스스로 드러낼 거라는 막연한 기대로 시작된 시도는 지금에서야 그 결실을 맞이합니다. 이제 남겨진 것은 바로 이곳을 방문할 모든 분이 그렇게 해서 드러난 어떤 무언가를 직접 찾아내고 또 직접 느껴보는 순간들뿐일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여기에 일상의 무거움을 내려둘 편안함이 깃들길 간절히 바래봅니다.

윤근주 尹根洲, 황정환 黃楨皖

둘 다 SA/서울건축학교(Seoul School of Architecture)에서 건축수업을 받았으며 기오헌 (kiohun)과 원오원(oneoone) 에서 건축실무를 익혔다. 광주디자인비엔날레(Gwanngju Design Biennale, 2011), 마을미술프로젝트(Maeul-misul Project, 2013)에 참여하고 김수근 프리뷰상(Kim Swoo Geun Prize Preview Award, 2013)을 수상한 바가 있다. 현재 충북대학교와 한국교통대학교에 출강하고 2010년부터 지금까지 1990uao/ 일구구공도시 건축사무소를 운영해오며 함께 건축작업을 하고 있다. 최근 2014 서울건축문화제(Seoul Architecture Festival, 2014)에 작가와 튜터로 참여하고 아르코미술관 협력기획전 ‘즐거운 나의 집(Home, Where the Heart is, 2014)'에 초대되었으며 완성작으로는 ‘소설호텔(snowhotel, 2014)’, ‘청담동 B 빌라 리노베이션(Cheongdam B. villa renovation, 2014)’등이 있다.

www.1990uao.com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