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6 corporation ⓒ Arita

 

식기는 음식을 담는 그릇을 말한다. 음식을 만드는 데에 쓰는 기구와 먹는 데에 쓰는 기구 또한 식기라고 한다. 한식, 일식, 중식, 양식 등 요리의 양식에 따라 식기의 종류가 다르며, 흙을 구워 만든 도자기, 나무를 깎아 만든 목기, 금속을 두드려 만든 금속기, 값싸고 간편한 플라스틱 등으로 만들어진다. 식기는 인류의 의식주와 함께 발전해왔다.

 

 

Sonora ⓒ DOIY

Cadaques ⓒ DOIY

 

 

당신은 공간이 다른 삶을 부여할 수 있음을 알 것이다. 그곳의 좋은 향, 알맞은 온도, 분위기는 우리를 좀 더 나은 사람으로 만들어 준다. 공간 속 작은 오브제는 사소할 수록 디테일에 큰 힘을 발휘한다. 타인의 식사를 챙기는 것으로 우리의 안부 묻기는 시작된다. 밥을 먹는 일에는 시간과 돈, 마음이 필요하다. 그야말로 잘 살고 있냐는 물음이다. 좋은 식사는 건강한 재료와 알맞은 타이밍, 그리고 정갈한 식기로 이루어진다. 식탁을 풍성하게 만드는 도구, 식기를 소개한다.

 

 

Retro selection ⓒ BOWLBOWL

 

한국의 식기는 수렵과 어로의 식생활 양식을 개발했던 신석기 시대부터 발견할 수 있다. 농경 생활이 시작되며, 음식물의 저장과 조리를 위해 식기가 필요해졌다. 이때 만든 식기가 빗살무늬토기다. 빗살무늬의 빗살은 열을 확산시켜 고르게 굽기 위해 기하학적인 무늬를 그어놓은 것이다. 당시의 사람들은 식수를 쉽게 구하기 위해 물 근처에 살았다. 비교적 무른 땅 위에 뾰족한 빗살무늬토기를 꽂아 다양한 음식을 저장했다.

 

 

Ellipse Plate ⓒ Ateliersoo

Gold Edition Plate S1 ⓒ ateliersoo

 

 

청동기시대에 이르러 빗살무늬토기는 민무늬토기로 변화했다. 민무늬토기는 납작한 바닥과 손잡이가 특징이다. 이와 함께 나무로 만든 목기와 칠기류 등이 존재했다. 나무를 깎아서 만든 목기는 가장 먼저 쓰인 것으로 추정되지만, 습기에 약하고 내구성이 약해 유물이 남아있지 않다. 칠기는 기물에 옻칠을 한 것으로, 정교한 무늬를 새기는데 큰 영향을 주었다. 식기는 삼국시대로 들어서며 사회제도와 주 . 부식의 정착으로 다양해졌다. 상류층이 등장함에 따라 고급스러운 금은기 . 도금기가 등장했다. 또한 주식뿐 아니라 반찬을 담는 고배, 각종 조미료를 담는 기명 등이 있었다. 통일신라는 유약을 사용해 그릇의 질을 높였다. 이는 고려시대에 이르러 재료가 더욱 다양해지고 아름다운 형태를 갖추게 했다.

 

 

Vintage selection ⓒ BOWLBOWL

 

 

한국인 중 ‘고려청자’를 모르는 사람은 거의 없다. 고려의 식기는 철기, 금은기, 자기, 놋그릇 등이 있었는데, 단연 청자기는 고려시대를 대표했다고 볼 수 있다. 청자란 비취색의 자기를 뜻한다. 당시 송나라에서는 비취색을 보고 비색이라고 칭하며 빛깔을 신비롭게 여겼다. 또한 고려는 기물에 홈을 파서 다른 재료를 넣어 굽는 상감 기법을 활용해 독창적인 청자를 만들어냈다.

 

 

 

Origin selection ⓒ BOWLBOWL

 

 

조선시대의 식기는 유기와 백자를 주축으로 발전했다. 조선의 백자는 임진왜란을 기점으로 일본에 전파되어 새로운 문화를 일으켰다. 조선 후기에는 서양문물의 도입과 함께 양은이 식기의 재료로 등장했다. 서양풍의 그릇이 유행함에 따라 전통적인 식기의 생산이 줄게 되었다.

 

김리오 기자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