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간과 공간의 수직적인 관계가 아닌, ‘병치’의 관계를 통한 조화. 튠플래닝 김석
 
튠플래닝의 김석은 인간과 공간, 공간과 주변 환경이 수직적인 관계를 이루기보다, 모든 요소가 ‘병치(倂置)’의 관계를 이루는 조화로운 공간을 추구한다. 김석 디자이너와 인터뷰를 진행하며, 그는 끝없이 머릿속에서 단어를 골랐다. 그리고 그가 내놓는 답변들은 하나같이 여운을 남기는 이야기였다. 그동안 튠플래닝이 선보여온 공간 작업 역시 그의 답변을 닮았다. 튠플래닝의 작업은 공간을 구성하는 모든 요소들이 어느 하나 섣불리 들어서지 않고, 하나하나가 주변과의 관계를 고민하며 조심스레 자리한 공간. 그 조화로움으로 인해 보는 이들에게 어떤 시적인 울림을 주는 공간이다.
 
(다양상회)
 
(다양상회)
 
Q. 튠플래닝의 튠(Tune)은 어떤 의미인가?
 
A. 튜닝(Tuning)이라는 단어는 악기나 자동차의 성능, 기능을 조율한다는 사전적인 의미를 가지고 있다. 우리는 공간이 홀로 주체가 되는 것 보다, 공간과 주변 상황이 어울리도록 공존 관계를 ‘조율’한다는 의미에서 튠(Tune)을 썼다. 이름이 그렇다 보니 우리가 공간에 대해 생각하는 바도 자연스럽게 그렇게 흘러가는 것 같더라.
 
Q. 튠플래닝이 문을 연지 올해로 13년차다.
 
A. 나나 나와 함께 일하는 나진형 실장이나 각자의 자리에서 10년 이상 경력을 쌓다가, 우리 세대 대부분이 그렇듯 시대에 밀려 독립하게 됐다. 지난 13년 동안 튠플래닝이 했던 작업에는 곡절이 많았다. 그동안 입소문을 탄 몇 건의 프로젝트가 있었지만, 지난 시간에 비해 결코 많은 작업을 보여줬다고는 생각하지 않는다. 카타르나 중국, 국내 대기업 등에서 우리의 작업을 좋게 봐주고 감사하게도 대학 프로젝트나 커피 박물관, 해외 플래그쉽 스토어 등 몇 번의 디자인 의뢰를 해온적도 있었지만, 진정한 아름다움, 디자인의 본질에 대한 고민이 많았기에 아직 그들과 성공적인 작업을 한 적은 없다. 그래서 우리는 아직도 스스로를 비주류, 신인이라 생각한다. 사실 지금 데코저널과 인터뷰를 하는 것도 어색하다. (웃음)
 
(Casa B5-2 아셈코어)
 
(변명)
 
Q. ‘The piano was drinking, not me’, ‘아셈코어’ 프로젝트로 많은 주목을 받았는데

A. The piano was drinking, not me는 결국 ‘변명’이다. 내가 한게 아니라 자연이 한 것이라는 의미로, 주변의 바위산을 동경하는 인공의 바위를 모티브로 했다. 이 프로젝트에서 사이트의 중요성을 온몸으로 느꼈다. 1년이라는 시간 동안 설계와 시공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이런 환경이라면 어떤 디자이너의 결과물이라도 작품이 되겠다’는 생각을 했다. 그때는 ‘일반적인 소재를 어떻게 하면 낯설게 보이게 할까’라는 것을 목적으로, 그냥 우리가 좋아하는 분위기를 작업했던 것일 뿐, 그 결과에 대한 이유를 설명하지 못하던 시기이다. 지금 생각해 보면 이 시기가 우리의 생각을 바꾸는 시기가 아니었나 돌이켜 본다. 아셈코어는 홍대 뒷골목에서 어떤 선명한 것을 보여주자는 의미로 일상을 미지화시킨 작업이다. 이 프로젝트는 ‘어떻게 하면 형태를 조형적으로 멋지게 만들까’라는 생각보다, ‘어떻게 하면 미지화해서 주변으로 시선을 확장시켜 나갈 것인가’를 고민하면서 미학보다 관계에 더 집중했던 프로젝트다.
 
(Zip17)
 
(Zip17)
 
Q. 프로젝트를 진행할 때 중요하게 생각하는 가치가 있다면?

A. 내가 작업하는 공간이 주인공이 되고 외부의 주변 환경이 배경이 되는 형태의 관계설정보다 ‘병치’의 느낌이 되기를 바란다. 또, 인간만 주체가 되는 수직적인 구조보다 공간은 공간대로, 사용자는 사용자대로, 그리고 주변 환경은 주변 환경대로 고유의 성격을 가지며, 모든 것이 어우러질 수 있는 공간을 만들어가려 한다. 동양화의 여백처럼, 주변의 맥락과 공간의 특징들이 함께 조화를 이루는 공간을 지향한다. 그래서 공간의 역할은 ‘주변 환경을 바라보는 계기를 만들어주는 것’까지라고 생각한다.
 
Q. 디자인에 대한 영감은 어디서 얻는지?

A. 건대 김문덕 교수님 지도하에 이우환 작가와 연관된 논문을 썼던 적이 있다. 그의 작품을 설명하는 이야기 중 ‘독만권서 행만리로(讀萬卷書 行萬里路)’라는 글이 있었다. ‘만권의 책을 읽고, 가슴에 만감을 품고, 만리의 길을 간 다음 그림을 그리라’는 개자원화보의 인용이었는데, 내게도 깊이 와닿는 이야기였다. 많은 사람들이 영화나 독서, 여행 등 몇 가지 경험의 편린에서 영감을 얻는다고 하지만, 근본적으로는 우리 주변의 모든 것들이 주는 ‘총체적인 경험’을 통해 ‘영감’이라 말할 수 있는 계기가 떠오르지 않나.
 
(Collage Cottage)
 
(Collage Cottage)
 
Q. 소재, 물성에 대한 관심과 접근이 남다른 것 같다.

A. 앞서 말했다시피 경험이나 기억, 관찰을 통해 그것이 ‘소재’가 되고, ‘소재’가 ‘공간’을 풀어갈 수 있는 매개, 키워드, 컨셉으로 발전된다. 우리(튠플래닝)가 소재를 다루는 방식에는 ‘공간을 위해서 무언가를 만들어내기보다, 소재의 물성, 특징을 어떻게 하면 선명하게 보여줄 수 있을까’를 고민하는 접근이 있다. 이를 위해 종종 내가 소재의 입장이 되어보는 경우도 있다. 내 이름이 석(石)이니까, ‘내가 돌이라면? (웃음)’ ‘내가 돌이라면, 이 공간에서는 나를 어떻게 다뤄주는 게 좋을까?’. 깨끗하게 광을 내주면서 절단해주는 것이 좋을지, 아니면 나의 살결이나 어떤 표정이 우러나오도록 다듬어주는 것이 좋을지 대입해 보기도 한다. 우리가 소재를 바라보는 관점도 있지만, 소재가 우리를 바라보는 관점도 생각해보려 한다.
 
Q. 앞으로의 계획이 있다면?
 
A. 요즘은 진정한 아름다움이란 무엇일까에 대해 고민 중이다. 디자인은 정답이 없다고 머리로는 말하지만, 그 지향점이 너무 한 방향인 것 같다. 분위기에 동화되는 디자인이 아니라, 익숙한 것으로부터 선명함을 느끼는 디자인, 주변에서 찾은 날것 같은 소재를 매개로 시선이 주변으로 확장되는 공간 디자인을 고민 중이다. 노자는 도덕경에서 ‘아는 자는 말하지 않고, 말하는 자는 알지 못한다’고 했다. 그런데 인터뷰에서 너무 많은 이야기를 한 것 같다(웃음). 그래서 말이 많은 우리는 아직 주류(主流)를 갈망하는 비주류(非主流)라고 스스로 생각한다. 우리의 방향성에 맞는 디자인을 해나가다보면, ‘이런 디자인도 있구나’하고, 말하지 않아도 알만한 디자인을 해보는 것이 튠플래닝의 목표다.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