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층은 지붕이 달린 발코니가 있는 싱글룸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조벽에는 책장이 설치되어 있고, 식당 한쪽에는 테이블이 있어 책을 읽을 수 있는, 마치 도서관같이 편안한 분위기의 공간이 만들어져 있다. 그리고 식사 공간과 생활 공간 사이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두 공간이 확실히 분리되어 있는듯한 느낌을 주었으며, 아이들 방과 넓은 옥외 생활공간은 3층에 위치...
조용한 주거지역 도로 끝에 위치한 집으로 부모님과 아들가족, 총 2 가구를 위한 새로운 집을 짓기 위해 기존에 있던 집을 철거하고 재건되었다. 건축가인 클라이언트의 남편이 대략적인 설계 스케치를 했고, 그것을 바탕으로 작업한 이 집은 지하실을 부모님의 거주 공간으로, 1층과 2층을 가족들의 생활 공간으로 설계하였다. 1층에는 침실과 아이들 방, 화장실이 ...
도쿄 아오야마 도심 주거지에 위치한 집으로, 다각형 부지에는 약 2.7m의 공간이 있어 지하층의 남쪽에는 주차장 입구를, 1층 서쪽에는 중앙출입구를 두었다. 집의 내부를 살펴보면 지하에는 차고와 자전거 주차를 위한 공간을 두었고, 1층에는 현관과 욕실, 침실이 갖추어져 있다. 2층에는 거실과 식사 공간을 마련했으며, 아이들 방은 다락방을 이용해 꾸몄다. 도...
협소한 공간이지만 넓은 공간에 있는 듯 폐쇄적인 공간이지만 다른 공간에 개방되어 있는 듯 내적인 공간이지만, 외부 공간에 있는 상반된 두 가지 느낌의 시도로 다양하고 풍부한 공간의 집 속의 집을 만들기로 했다. 외부처럼 공간 확보를 먼저 해놓은 후 내부공간을 디자인했고, 다음으로 프라이버시를 위한 집을 설계했다. 그렇게 함으로써 집 속의 집으로 구성된 내부...
강과 길이 교차하는 삼각형 모양의 부지에 지어진 이 협소 주택은 예각을 이루고 있다. 막다른 길에 집을 짓기 위해서는 허가를 받아야 했고 그에 따른 많은 규제 아래 계획되었다. 부부가 딸과 함께 살고 있는 이곳은 한정된 범위의 독특한 부지이지만, 은행과 산책로 사이로 강을 마주하고 있기 때문에 디자이너는 그 강을 이용한 디자인을 하길 원했다. 삼각형의 예각...
시골의 작은 단독주택을 위한 프로젝트다. 농촌 풍경을 담은 작고 편안한 공간을 위해 최소한의 기능을 살린 생활공간을 만들었다. 잔잔한 시골 풍경을 바라볼 수 있는 남쪽에는 베란다와 같은 큰 창이 있고, 집 안에는 목재만을 사용하여 공간에 편안함을 주었다. 또한, 일 년 내내 북쪽 창을 통해 들어오는 채광과 하나로 연결된 큰 지붕은 가족 간의 유대관계를 돈...
14평 남짓의 아늑한 협소주택으로 도쿄에 위치해 있다. 건물들로 둘러 쌓인 이 집의 건너편에는 공원이 있는데, 건축주는 집을 공원과 연결된 편안하고 안락한 공간으로 만들기 원했다. 1층에는 건물의 입구와 창고가 있고 2층에는 거실과 침실이 있다. 거실 창을 통해 거리풍경이 아닌 공원의 아름다운 풍경을 내려다 볼 수 있으며 공원의 풍요로움은 벽에서 새나오는 ...
동부 도쿄의 인구밀도가 높은 주택가에 위치하고 있는 싱글하우스는 싱글들을 위해 집의 파사드를 완전히 나무 루버로 덮었고 긴 로트의 대형 차량을 주차하기 위해 강성프레임을 사용해 필로티 형식의 차고를 만들었다. 앞 뒤 공간의 중심을 계단으로 연결한 것이 보이고 위층은 오픈형 천장과 분할된 다른 층으로 구분되는 입체적 구성을 보여준다. ...
도쿄의 중심에 위치한 작업실 겸 거주지. 약 11평 정도의 좁은 건축면적 때문에 수직적으로 공간 이용의 효율성을 높였다. 상자처럼 생긴 집에 층을 만들어 마치 책장처럼 디자인하였고, 가구 배치를 이용해 각 공간을 거실, 주방, 침실, 서재로 나누었다. 생활 공간이 오픈 되어 있어 자유롭게 들락거릴 수 있는데 이 구조에서 공간 구성의 자유로움을 느낄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