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Christian Stahl

 

 

문이 없는 공간을 상상해 본 적이 있는가. 우리는 그 공간으로 들어갈 수 없다. 그 공간 밖으로 나갈 수도 없다. 그 공간은 다른 세상으로부터 완벽히 격리되어 있는 것과 마찬가지다. 조금 더 정확히 말하자면, 문이라는 개념 없이는 공간 자체가 성립 할 수 없다. 그런 건물을 짓는 것 자체가 불가능함을 누구나 알 수 있다.

 

 

: Ⓒ Biasol

 

사람이 살아가기 위해 필요한 것을 한데 모아 우리는 의식주라고 불러왔다. 불확실한 기후와 위험한 환경으로부터 우리를 보호하는 옷(衣), 생존을 위해 반드시 필요한 적당한 먹을 것과 마실 것(食). 그리고 가장 중요한 집(住). 집이 없다면 옷을 갈아 입을 공간도, 안전하게 식사를 즐길 공간도 없다. 또 그 집에는, 안락한 실내로 인류를 이끌고, 닫혀 있을 때는 인류를 보호해주는문이 있다. 문은 인류에게 이렇게나 중요한 존재였다.

 

 

인류 최초의 건물은 움집이었다. 선사시대의 인류는 바닥을 파 그 위에 짚과 나무 기둥을 이용해 움막을 만들었다. 출입구(doorway)는 있을지언정, ‘문(door)’이라 부를 수 있는 것은 없었다. 차차 이 움집에서 벗어나 나무를 조금 더 정교하게 다루는 건축이 시작되면서, 문의 역사 역시 시작된 것이다.


 

: Ⓒ Lemur
 

 

인류 최초의 문으로 기록된 것은, 기원전 3063년경 만들어진 문이었다. 스위스 취리히에서 발견된 이 문은 153cm의 높이, 88cm의 너비로 포플러 나무로 제작되었다. 이 문은 취리히 호수(Lake Zurich)에서 불어오는 차가운 바람을 피하기 위해 만든 집의 일부였으며, 인근에 존재했으리라 추정할 수 있는 신석기 마을(Neolithic villages)의 흔적이다.

 


지역에 따라 화강암, 화성암 등의 돌이 문의 소재가 되기도 했다. 최초의 ‘석제문’은 메소포타미아 문명의 발상지였던 수메르에서 기원전 2000년경 만들어진 것이 발견되었지만, 무게와 가공의 어려움이라는 특성 때문에 일상적이고 보편적인 소재가 되지는 못했다. 문자가 생기고 건축이 보다 체계적으로 정립되기 시작한 이후에야 돌과 철, 유리와 나무 등이 공간에 따라 교차하고, 어울려가며 문의 소재로 자리 잡기 시작했다. 현대에 이르러서 문은 미닫이, 여닫이, 홑문, 곁문 등 고전적 형태 뿐 아니라 폴딩 도어, 자동문 등의 다양한 형태로 발전했다.

 

 

: Ⓒ Daniel Frank

 

문이 단지 ‘열고 닫는 것’의 역할만 했던 것은 아니다. 문은 상징적으로도 큰 역할을 해왔다. 솔로몬 왕은 궁전의 문을 올리브 나무로 만들어 황금을 입혔다. 왕으로서의 권위와 위세를 자랑하고자 함이었다. 이집트 무덤 속 그림에서도 문은 ‘상징적 의미’였다. 이 그림 속의 문은 당시 내세로 가는 출입구로 여겨졌다. 프랑스의 개선문은 나폴레옹이 세운 것으로, 당시 전쟁의 승리를 기념하는 일종의 승전비와 같은 역할을 했다. 국내에서도 문이 상징으로 쓰인 사례가 적지 않다. 돈의문은 일제강점 당시 반일을 뜻한다는 이유로 일제에 의해 훼손되기도 했다. 문은 이처럼 때때로 공간의 주인이 표현하고자 하는 바를 드러내는 역할을 해왔다.


 

: Ⓒ Fala Atelier
 

 

인류가 오래도록 문과 함께 해온 만큼, 문은 인류의 심리와 정신에도 지대한 영향을 미쳤다. 문을 열고 들어오는 이들은 때론 환영의, 때론 경계의 대상이 된다. 문을 등 뒤에 두고 일을 할 때 집중도가 떨어진다는 연구는 문이 인간의 심리 속 깊숙이 자리하고 있다는 것을 상기시킨다.
 

 

 

: Ⓒ Biasol

 

언어 습관에서도 이는 드러난다. ‘마음의 문을 열다/닫다’라는 비유는 문이라는 것이 인류에게 어떤 의미인지를 잘 드러낸다. 비단 한국어 뿐만이 아니다. 영어의 ‘Door of Hope’, ‘Door of Faith’, ‘Door of Love’ 등과 같은 표현 또한 그렇다. 부탁을 거절하는 행위를 ‘문을 닫는 것’에 비유한 심리학 용어를 떠올릴 수도 있다. 작은 부탁부터 시작해 긍정의 대답을 얻어내기 시작하면 큰 부탁에도 쉽게 긍정의 사인을 받을 수 있다는 말을 뜻하는 풋 인 더 도어(Foot in the door) 전략, 먼저 무리한 부탁을 한 뒤, 거절 이후 원래 목표로 했던 부탁을 하는 도어 인 더 페이스(Door in the Face) 전략 등이 바로 그 예이다.


 

 

: Ⓒ MiMool Arguitectura & Design de Interiors
 

 

문을 담은 표현은 인류가 문과 함께하는 한 쉽게 바뀌지 않을 것이다. 오늘 아침 일어나 몇 개의 문을 열고 닫았는가. 얼마나 많은 문을 지나쳤는가. 헤아리기 쉽지 않을 것이다. 인류는 그만큼 이 오브제와 밀접한 관련을 맺고 있고, 이 없이는 생존조차 장담하기 어렵다. 집과 음식, 의복 없이 생존할 수 없듯이. 문은 그렇게 우리를 공간으로 이끌고, 타인으로부터 공간을 보호하며 인류의 역사와 함께해 오고 있었다. 우리를 공간으로 이끌고, 외부로부터 지켜주는 오브제, 문이다.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