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람을 닮은 집, 마음을 담은 건축, UTAA 김창균
 
서울시립대학교 건축공학과를 졸업하고 동대학원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이후 건축설계뿐 아니라 다양한 작업에 참여하며 실무경험을 쌓았고, 2006년 (주)리슈건축사사무소 공동대표를 거쳐 2009년 UTAA건축사사무소를 개소하였다. 현재 (주)유타건축사사무소 대표이자 서울시 공공건축가로 일상의 중·소규모 건축물을 바탕으로 하는 도시 재생에 관심 많으며, 2011년 문화체육관광부에서 주관하는 ‘젊은 건축가상, 2013년 목조건축대상, 2018년 스틸하우스 건축대전 최우수상 등 다수의 상을 수상한 바 있다. 주요 작업으로 포천 피노키오 예술체험공간, 서울시립대학교 정문, 삼청가압장, 보성주택, 이천 상가주택(Sugarlump), 수원 상가주택(The Square), 울산 간절곶 카페0732, 용인 단독주택(규우주), 파주 시네마하우스, 판교동 산책하는집, 중곡동 상가주택(도로돌), 도시다반사, 청담동 비원, 은혜의 교회 채플 등이 있다.
 
수원 더 스퀘어
 
보성 단독주택
 
Q. UTAA라는 사명에 대해서 설명을 부탁드린다.
 
A. UTAA라는 사명은 우리가 일을 함에 있어서 중요하게 생각하는 단어들의 앞글자를 모아 만든 이름이다. 첫 글자인 U는 Urban. 도시는 단독주택이든, 빌딩이든, 여러 건축물들이 모여 만들어내는 단위다. 건축과 도시가 서로 많은 영향을 주고받기 때문에 건축을 할 때는 도시와의 관계를 고려해야 한다. T는 오늘날 사람들이 흔히 가지고 다니는 Tablet, Tablet PC에서 따왔다. 우리들이 Tablet을 휴대하고 다니면서 그때그때 떠오르는 것들을 메모하고 스케치하듯, 건축 또한 일상에서 펼쳐지는 것들이 담기고, 녹아들며 여백에 표현할 수 있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에 Tablet과 같은 건축을 하고자 T자를 따왔다. 세 번째 글자인 A는 우리가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단어, Actualize에서 따왔다. Actualize는 현실로 만들다, 실현하다, 나아가 ‘실제로 작동하다’는 의미가 있다. 우리는 우리의 건축물이 단순히 아름답기만 해서 감상을 위한 기능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건축물에서 생활하는 사람들의 삶 속에서, 또는 건축물이 자리하는 도시 위에서 ‘실제로 작용’하기를 바라는 의미에서 Actualize를 가장 중요하게 생각한다. 마지막 A는 당연히 Architecture다.
 
Q. 주거 공간 프로젝트가 특히 많은 것 같다.
 
A. 우리가 사무소를 개소하고 처음으로 작업했던 프로젝트는 전라남도 보성의 30평대 단독주택이었다. 지금은 비슷한 스타일의 주택이 많이 생겼지만 당시만 해도 흔치 않은 스타일이어서 반응이 좋았고, 그를 통해 UTAA가 여러 매체에 소개되기도 했다. 또 한번은 건축주, 건축가, 시공업자들의 진솔한 이야기를 담은 ‘집짓기 바이블’이라는 책을 출판하는 데 참여했었는데, 그때부터 지금까지 단독주택을 문의하는 의뢰가 계속 이어지는 것 같다.
 
이천 sugar lump house
 
Q. 건축/디자인에 대한 UTAA만의 철학이 있다면?
 
A. 우리는 건축을 시작하면서부터 마무리하는 순간까지 단 하나의 컨셉을 가지고 작업에 임한다. 그것은 바로 사람이다. 건물은 죽어있는 인공물이지만, 살아있는 사람이 그 안에서 활동하고, 녹아들고, 감동받고, 눈물을 흘리거나 기뻐한다. 그 사람들이 ‘어떻게 해야 우리가 만드는 건물에서 함께할 수 있을 것인가’ 고민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담아내는 건축물을 만드는 것이 UTAA의 건축에 대한 생각이다.
 
인천 AAW
 
청담동 비원
 
Q. ‘건축가의 역할’은 무엇이라 생각하나?
 
A. 혹시 국보로 등재된 고려청자를 만져본 적이 있나? 아마 일반인들은 아무도 그런 경험을 해본 적이 없을 것이다. 그러나 국보 1호인 숭례문은 얼마든지 만져보고 그 앞에 누워보고 할 수 있다. 세상의 모든 귀중한 것들 중 유일하게 건축물들만 그렇게 할 수 있고, 또 그래야만 한다고 생각한다. 아까도 언급했듯 단순하게 한 발짝 떨어져서 감상하는 건축이 아니라, 사람과 함께 살아가며 사회 안에서 실제로 작동하는 건축, 그것을 끊임없이 연구하는 것이 건축가들의 역할이라고 본다.

또, 건축가가 정치인은 아니지만, 건축물로 인해 파생되는 힘으로 사회를 얼마든지 바꿀 수 있다고 믿는다. 사회 시스템에서 ‘집’은 가장 작은 픽셀이라고 볼 수 있다. 그러나 그 작은 하나의 픽셀이 긍정적인 방향으로 잘 작동한다면 얼마든지 도시가, 사회가 더욱 긍정적인 방향으로 변할 수 있다.
 
용인 규우주
 
Q. ‘좋은 건축가’란? 또, ‘좋은 집’이란?
 
A. 좋은 건축가는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잘 들어주는 건축가다. 모든 프로젝트는 클라이언트로부터 시작되고, 거기에 건축가의 철학, 건축가가 생각하는 도시와 건축물을 녹인 작업을 할 수 있는 사람이 좋은 건축가라 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그를 뛰어넘어 100년, 200년, 많은 시간이 지난 뒤에도 사람들이 아껴주고 또 사회 속에서 잘 작동할 수 있는 건축물을 만드는 사람이 더 좋은 건축가가 아닐까 한다. 사실 그런 건축가가 돼서 내가 지은 건물들 중 딱 하나만이라도 100년 이상 남았으면 하는 것이 개인적인 꿈이다.

좋은 집이란 꼭 비싼 돈을 들여 누가 봐도 감탄이 절로 나오는 집만이 좋은 집이라 할 수는 없는 것 같다. 계속 반복되는 이야기지만, 우선 기능적인 기본을 탄탄하게 갖추고, 그곳에 사는 사람들의 이야기를 고스란히 녹여낼 수 있는 집, 또, 세월이 흘러도 사랑받을 수 있고, 여러 변화에 대응할 수 있는 집이 좋은 집이라고 생각한다.

Q. 앞으로의 계획은?
 
A. 누군가 ‘건축은 50부터가 진짜’라고 말했는데, 공교롭게도 내년이면 50세가 된다. 그렇기 때문에 앞으로는 그동안 보여준 것 이상으로 정말 제대로 된 건축을 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당장 아프리카에 가서 봉사활동을 하지는 못하더라도, 그만큼 사회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칠 수 있는 건축을 하고 싶다. 또, 다음 세대의 건축에 대한 관심도 깊은 편이라 후배 건축가, 함께하는 직원들이 성장할 수 있는 토양을 만들어주고 싶다는 바람이 있다.
 
도시다반사
 
파주 시네마하우스
 
저작권자 ⓒ Deco Journal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