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지동 1층의 로비와 카페는 기업의 기술력을 파악할 수 있는 디자인을 선택했다. 천장에 금속성의 그레이팅 소재와 조명등을 이용하여 견고하고도 단단함을 표현함과 동시에 긴 선으로 연결된 조명등을 통해 DN SOLUTIONS의 밝은 미래를 상징적으로 표현했다. 또한 금속성 소재와 조명을 이용함과 동시에 구조재로 사용되는 경량 철골을 노출하여 사용하거나, 마감재...
마치 파도의 물결을 보는듯한 외관을 가진 집이 인도 아메다바드에 있다. Liquescent House는 샤일리 뱅커의 자연스러운 유동성을 한 눈에 찾아볼 수 있는 건축물로, 엄격한 선과 각도보다 유기적이고 흐르는 형태를 선호하는 그녀의 디자인 언어를 여실히 보여준다. 또한 건축은 자연과 조화로운 상호 관계에 있으며, 이를 철저히 반영해야한다는 그녀의 철학을...
Ergon Bakehouse는 아테네에 있는 베이커리, 리테일, 식당, 호텔을 결합한 프로젝트로, 베이킹의 공정 과정에서 영감을 받아 설계됐다. 베이킹 과정에서 반죽은 보살핌의 기호적 상징이다. USP는 이 상징을 스페이스에 투영하여 포근한 분위기를 부여해 방문객에게 편히 쉬어 갈 수 있는 공간으로 설계했다. 1층의 베이커리와 식당은 아이보리와 우드톤을 사...
Moi Fin Sky는 원래 핀란드의 아침 리조트가 자리했던 곳으로, 남해의 아름다운 풍광과 인피니티 풀 덕분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 명소였다. 건축주는 새로운 사업을 구상하며 2020년 리조트 앞 부지를 매입해 Moi Fin 카페를 오픈했고, 예상보다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에 기존 리조트를 철거하고 더 큰 규모의 카페를 짓기로 결정했으며, 설계는 Moi ...
X+Living은 Top Toys First Global Flagship Store(이하 Top Toy 플래그십 스토어) 파사드에 브랜드의 대표 캐릭터인 대력복묘(大力福猫)를 압도적인 크기로 배치하여 강렬한 시각적 임팩트를 선사했다. 파격적인 외관은 소비자의 시선을 사로잡고 자연스럽게 브랜드에 대해 관심을 가지게 만들며, 이 매장을 하나의 랜드마크로 자리 ...
Unwavering attention to detail in pursuit of perfectionDeep appreciation for the relationship between form and function.Christophe de Sousa Studio는 2018년, 포르투갈을 거점으로 활동하는 디자이너인 크리스토프 드 소자(Christophe d...
Clavel Arquitectos는 ODSIEO Gastronomic Center(이하 ODISEO)를 통해 스페인의 도시인 무르시아뿐만 아니라 스페인 남동부 지역 전체에서 기준이 되고자 하는 대규모 도시형 레저 단지를 완성했다. 총 건축 면적이 약 12,500㎡(약 3,781평)에 달하는 거대한 이 스페이스는 레스토랑, 나이트클럽, 공연장, 카지노, 스포...
Great deal of individuality and conf idenceSearch for sense for sense and sensuality in design.한네 빌만(Hanne Willmann)은 그녀의 이름을 내건 Studio Hanne Willmann의 CEO이자 크리에이티브 디렉터로 활발한 작업 활동을 이어가고 있는 디자이너다. 그녀는 ...
홍기웅홍기웅DSM*은 상향 평준화된 국내 커피 시장에서 카페 본연의 호스피탈리티(hospitality)를 되살리고, JM COFFEE의 브랜드 아이덴티티를 명확히 정의하고자 했다. 생두 한 알이 커피 한 잔이 되기까지의 여정을 직접 수행하는 커피 브랜드로서의 자부심을 최근 리뉴얼한 브랜드 아이덴티티에 고스란히 담았다. 스페이스 곳곳에 오브제를 배치해 생두의...
집은 나만의 공간, 편히 쉴 수 있는 곳의 의미를 갖는다. 타인들이 함부로 출입하지 못하는 온전한 나의 영역이며, 다른 관점에서 보면 나만의 요새와 같다. 인도 인도르 타운쉽에 실제 요새를 본 떠 만든 집이 있다. SPAN은 전통적인 요새 건축에서 영감을 받아 이를 현대적인 관점에서 재해석하여 The Fort House를 설계했다. 거대하고 웅장한 외관은 ...
OZBE는 신생 카페 브랜드로, 4층 건물 전체를 사용하며 그 속에서 프리미엄 과일을 판매하고 과일을 현장에서 직접 착즙하거나 플레이팅하여 고객들에게 서비스한다. 꼴 스튜디오는 OZBE의 브랜드 아이덴티티가 드러나면서도 직원과 고객들의 자연스러운 동선을 위해 1층은 과일 마켓, 2층은 사무공간, 3층과 4층은 고객들을 위한 라운지 공간으로 계획했다. 설계 ...
SerenSun House는 용인시 수지구에 위치한 단독주택으로, 절제된 세련미와 감각적인 디테일이 돋보이는 스페이스다. 주택의 지하는 공용 공간, 마스터 존, 게스트룸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각 실로 연결되는 복도의 도어는 벽체와 일체감을 이루는 히든 도어로 설계하여 미니멀한 디자인과 세련된 공간미를 완성했다. 주방은 무늬목 가구와 히든 디자인으로 깔끔하고...
NIKKEN SEKKEI는 역사적 요소와 공원이 공존하는 다카츠키 성의 옛 부지에, 풍경의 자연스러운 연장선으로서 지역과 완벽하게 통합되고 공명하는 공연장을 만들고자 했다. 다카츠키 북쪽에 위치하여 오랜 세월동안 지역의 성장을 지켜봐 온 호쿠세츠 산맥에서 영감을 받아, 이 산맥에서 자란 목재를 사용함으로써 이 장소에 땅의 지속적인 힘을 불어넣는 것이 NIK...
Combine playful energy within sophisticated, timeless elementsImbues questions about reality, functionality and digital illusion.PIETRO FRANCESCHINI STUDIO(이하 PF)는 2020년, 뉴욕과 밀라노를 거점으로 활동하는 건축가이자 디자이너...
Mix of styles, a cooperation between aesthetics and ways of useAppropriates of fashions attitude that place the project side by side to the quality of its time.로렌자 보졸리(Lorenza Bozzoli)는 이탈리아 밀라노에 뿌리를 ...
홀푸드코리아 오피스는 업무 공간이면서도 자연에서 좋은 원료로 건강을 연구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기업 정체성을 그대로 반영한 곳이다. 다나함은 자연이 만들어낸 생태계, Ecophere 개념을 바탕으로 스페이스를 구성하고 디자인적 언어로 풀어냈다. 다나함은 자연과의 조화를 이루며 건강한 삶을 연구하는 홀푸드코리아만의 이야기를 담아내고자 했으며, 업무에 몰...
대한민국 국민의 대다수가 거주하고 있는 아파트는 제한된 공간과 층간 소음으로 인해 아이들이 집안에서 뛰어놀지 못한다는 특징을 갖고 있다. 한창 뛰어노는 것을 좋아할 때의 아이를 보며, 부모는 아이들이 마음 편히 그들이 하고 싶어 하는 것을 할 수 있는 집을 꿈꾼다. 브라질 리우데자네이루의 파라티에 위치한 casa laranjeiras는 자연과의 친밀함을 추...
오만의 수도 무스카트에 위치한 AL ZADJALI VILLA는 BIVA의 리노베이션 프로젝트로, BIVA는 깔끔한 라인, 천연 소재, 현대적인 마감재를 결합하여 모던한 미니멀리즘을 구현했다. 외부의 검은색 금속 소재 디테일은 부드러운 흰색의 벽 톤과 아름답게 대조되는 반면, 큼지막한 창문은 자연광으로 공간을 가득 채우고 시야가 탁 트이는 전망을 선사한다. ...
제주 무릉리에 자리 잡은 샴록은 외부에서 봤을 때 제주의 전통적인 분위기를 간직하면서도, 내부로 들어서는 순간 완전히 새로운 차원의 이국적인 매력을 선사한다. 도로에서 보았을 때는 높은 담으로 둘러싸여 있어 호기심을 자극하며, 내부로 발을 들이면 베이지 톤의 석재와 모던한 디자인이 조화를 이루며 신비로운 분위기를 자아내는 것이 특징이다. 샴록은 마치 지중해...
Innate freedom of observationcreating new conceptual and decorative canons.Cristina Celestino studio는 2013년, 크리스티나 셀레스티노(Cristina Celestino)가 자신의 이름을 걸고 설립한 디자인 스튜디오다. 그녀의 스튜디오는 주거, 호텔, 상업 프로젝트에서 크리에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