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태훈윤태훈경기도 양평군 개군면. 이곳은 지방 하천인 흑천이 남한강이 되기 전 마지막으로 지나는 마을이다. 사람의 손길이 덜 미친 시골 양평 어느 작은 마을에 한 작가의 꿈을 담은 카페가 자리 잡았다. 건축주는 자신이 태어나 자란 곳에 지어진 아버지의 옛 한옥 건물을 전통과 현대의 미를 살린 새로운 공간으로 만들고 싶었다. 스페이스닷은 건축주와의 소통을 통...
Dimora Maringelli의 입구는 직사각형 모양의 미니 수영장, 커다란 올리브 나무가 있는 원형 화단, 그리고 테라스로 이어지는 계단으로 조성됐다. 내부 아트리움은 트리니 스톤을 활용해 빈티지한 디자인을 연출했고, 여기에 현지 장인이 수작업한 나무 테이블과 로프 의자, 패브릭 소파를 배치해 편안한 휴식 공간을 완성했다. Paolo Pellegrini...
CplusC는 시드니의 해변 교외 맨리에 두 자녀를 둔 젊은 부부를 위한 맞춤형 집을 기획했다. Holocene의 의미는 마지막 빙하기가 끝나고 급격한 온난화가 시작된 시기를 뜻하는 말로 자연으로 눈을 돌려 지구와 공생하며 살아가는 미래 지향적인 의미를 담고 있다. CplusC는 Holocene House의 프로젝트를 통해 클라이언트의 건강과 편안함을 조성...
fortezza 프로젝트가 위치한 대전시 서구 관저동은 서남부생활권 개발의 중심 지역으로 농촌과 주거 지역이 혼재된 신흥 개발 지역이다. 자연과 주택, 그리고 아파트단지가 혼재되어 있는 도심 내 단지형 택지지구로 동쪽으로는 아파트단지와 마주하고 있고, 남쪽으로는 집들이 들어서고 있었다. 서쪽과 북쪽의 부지는 현재 빈터로 남아있지만, 곧 주택으로 메워질 계획...
적지만 더 나은 디자인, 더 이상 덜어낼 것이 없는 완전한 디자인 LESS but Better홍콩, 뉴욕, 네덜란드, 이탈리아 등 우준승 소장은 다양한 나라에서 여러 사람과의 조우를 통해 문화적 다양성을 배웠다. 이를 바탕으로 사람과의 소통을 토대로 조형물의 조화로움을 목표로 한 다채로운 형태의 건축을 완성했다. 특히 자연과 인공의 절묘한 조화를 중시하는 ...
바위 위에 자리 잡은 더남해 풀빌라는 남해의 자연을 응시하는 형상의 구조를 지녔다. 총 3개의 객실로 구성된 각 공간은 나란히 독립된 모습으로 조성됐다. 가장자리 하얀 외벽으로 둘러싸인 계단 입구를 따라 걸어오면 직사각형 모양의 더남해 풀빌라를 만나게 된다. 바다와 인접해 있는 이곳은 곳곳이 포토 존으로 불릴 만큼 자연 조망이 빼어나다.자연을 향해 열려있는...
남산트라팰리스 프로젝트는 클라이언트인 오스트리아 출신의 남편과 한국인 아내가 가을마다 거주할 주상복합의 리모델링 작업으로 시작되었다. 디자인쉐어는 공사 착수 전 클라이언트와의 소통을 통해 한국의 미를 담은 거주 공간을 기획하였고, 이에 한옥의 요소를 스페이스에 구성하여 한국 본연의 미학을 공간에 표현하고자 했다. 실내 인테리어는 깊고 차분한 먹색을 주된 톤...
중국 타이위안 샤오뎬 구에 위치한 The Whisky Bar 프로젝트는 표준 부동산 주택 단지의 일부인 상업용 연단 2개 층의 리모델링으로 기획되었다. 조성 범위는 기존 상점 3곳의 면적으로 확장되었으나 건물의 가장 상층이 아파트로 인한 하중의 부담, 공조설비의 제약 등 제한된 사이트의 문제점이 지적되었다. JSPA Design은 이를 극복하기 위해 기존의...
TOJI는 평택에 위치한 대형 복합문화공간으로 카페, 베이커리, 레스토랑으로 운영되고 있다. (주)웰종합건설은 현대인에게 생명의 발판인 땅의 에너지와 자연의 감성, 생명과 휴식 등의 이미지를 TOJI에 투영시켰다. 이에 제한된 공간 안에서 건축과 조경이 한데 어우러진 융합된 공간을 연출하였다. 1층 정문으로 이어지는 야외 정원은 TOJI의 정체성이자 메인 ...
Surfside House는 시드니 북부 해변인 아발론의 헤드랜드에 자리 잡은 곳이다. 아발론은 고요한 해안 풍경과 서핑을 즐기기에 완벽한 곳으로 아름다운 풍경을 자랑한다. Richard Cole Architecture는 천혜의 자연환경을 최대한 반영한 거주 공간을 기획했다. 이에 건물의 대지는 두 개의 부지를 하나로 합쳐 조성하였고, 비스듬한 전망과 견고...
제가 만든 공간 안에서 사람들이 행복한 경험을 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공간디자이너, 어린 시절 이광훈 소장의 가슴을 뛰게 한 직업은 훗날 그의 업이 되었다. 그는 좋아하는 일을 더 잘하고 싶어 노력했고, 그 열정이 더해져 자신의 일을 즐기는 영민한 디자이너가 되었다. 시대의 트렌드에 귀 기울이고 공간의 기능과 역할에 관해 이야기하는 그는 스페이스가 지닌 스토...
하노이의 Cultra Taproom은 100년이 지난 식민지 시대의 집에 새로운 생명을 불어넣고자 시작된 프로젝트다. 프랑스 식민지 시대에 지어진 이 건물은 역사적 격변과 여러 차례의 소유권 전환으로 무용지물의 건물로 남았다. 특히 1층 중앙을 가로지르는 약 60cm의 좁은 골목은 건물의 공유 소유권을 고려할 때 철거할 수 없는 요소였다. 이에 IDEE a...
목적지9은 아홉 개의 서로 다른 콘셉트의 장소를 찾아가는 여정의 공간이다. 아이엠에이건축사사무소는 자연 속에서 만난 카페의 모습을 스페이스 안으로 투영시켜, 자연과 조화로운 건축을 기획했다. 이에 목적지9 안에 각기 다른 콘셉트의 영역을 기획하였고, 스토리텔링에 따른 공간 디자인을 연출했다. 방문객에게는 같은 공간에서의 다층적 경험을 선사하고 외부 자연이 ...
새롭게 리뉴얼 오픈한 시몬스 그로서리 스토어는 아메리칸 컬리지 스타일의 감성을 담은 2층 규모의 공간이다. 1층은 미국 대학교 카페테리아, 2층은 체육관 라커룸의 이국적인 분위기를 재현했다. 실내는 높은 층고에 따른 삼각 천장, 설비 공간의 오픈 등을 활용하여 공간의 확장감을 높였다. 벽면과 선반 곳곳에는 하이틴 감성의 액자와 비디오테이프 등의 소품을 배치...
Meng Du Hui Restaurant 프로젝트는 중국 후이저우(Huizhou) 요리와 문화의 유산에서 영감을 받아 시작되었다. 이에 Tanzo Space Design은 현대적인 건축 요소와 후이저우 정원의 전통적인 영감을 결합한 건축 디자인을 기획했다. 여기에 자연스러운 질감, 미니멀한 형태, 상징적인 건축 요소와 역사적 서사의 결합을 통해 요리 유산을...
스테이정연은 제주 전통 돌집을 현대적으로 재해석한 스페이스다. 단심은 스테이정연을 휴식의 본질적인 아름다움을 선사하는 곳으로 기획하여 연출했다. 야외는 돌담, 프라이빗한 정원과 자쿠지로 꾸몄고, 내부는 군더더기 없는 젠 스타일의 현대적이고 감각적인 공간으로 표현했다. 여기에 목재와 돌의 질감을 활용한 인테리어를 무채색으로 통일하여 안정적인 쉼의 영역을 완성...
WEB. www.orbitdesignstudio.comEMAIL. hello@orbitdesignstudio.comTEL. 662-654-3667INSTAGRAM. @orbitdesignstudio...
늘 일하듯 놀고 놀듯 일하니까 특별한 건 없었다. 늘 하던 대로 음악 듣고 작업하고, 그림 그리고, 전시도 하면서 지냈다. 항상 새롭거나 특별한 이벤트는 없지만 늘 재미있게 살자란 생각으로 살고 있다.Q.미대 전공자로서 건축을 하게 된 동기와 직업에 대한 후회나 아쉬움은 없었는지 궁금하다.바우하우스 정신을 비춰보면 미술이란 커다란 개념 안에 건축, 패션 등...
소나무코리아WEB. www.sonamukorea.comEMAIL. sonamukorea@sonamukorea.comTEL. 010-6558-6154INSTAGRAM. @sonamukorea...
회사를 리브랜딩 하면서 unnamed, by no means라는 슬로건을 정했다. 의미는 이름 있는 일에 대해, 같이 상상하고 가치 있는 일을 한다는 뜻을 담고 있다. 더불어 제 성의 임을 따서 이것이 임이다, 확장하면 이것이 우리다라는 뜻도 포함하고 있다. 의미를 풀자면 이름을 걸고 가치 있는 일을 하겠다는 의미을 담고 있다. 함께하는 사람들, 공간에 대...